탁구/탁구노트

탁구에 필요한 웨이트트레이닝(광배근)

제트스핀 2011. 7. 27. 10:25

광배근(=활배근)

몇 달전 이소룡에 대한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... 그는 배우이전에 무술인이었고, 절권도의 창시자였죠.. 그를 가르친 사부들이 있었지만 그는 그 배움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많은 연구를 하게 됩니다.. 만약 배운데로만 연습하였다면...음.... 글쎄요.. 그는 당대 무술인들이 순발력이 떨어진다 하여 등한시했던 근육운동, 즉 웨이트트레이닝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.. 죠깅과 함께 빠지지 않고 했다는데요.. 그 증거가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버린 광배근이죠.. 마치 코브라를 연상케하는.. 따로 트레이닝을 하지 않으면 절대 발달할 수 없는 근육.. 보디빌더 수준의 근육입니다.. 사진 첨부합니다..

그 이후로 저도 발목의 부상으로 탁구를 못하게 되어 웨이트트레이닝에 관심을 두고 여기저기 자료를 보고 공부하게 되었죠..^^ 그 중 일부를 소개하고, 나름 정리한 생각을 썰렁한 게시판에 올려보겠습니다.. 자주 방문해서 읽어보시고, 도움 되기를..


 “긴 샷거리는 팔의 힘보다 허리의 회전이 중요하다. 얼마나 더 회전을 했느냐에 따라 거리차가 생긴다. 고무동력기가 고무를 꼬아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이치다. 이러한 회전에 필요한 근육이 바로 등의 좌우에 붙어 있는 광배근이다. 광배근에 크고 잔 근육이 많아지면 강력한 꼬임을 버틸 수 있고 스윙 또한 정확해진다.”  -2008.11.13 서울경제신문


 위에 글을 보면 마찬가지로 탁구에서도 적용이 될거라 생각이 듭니다.. 특히, 해당부위의 근육을 움직이면 다음날 근육통을 느끼기 마련인데요..  탁구를 쳐보신 분들은 무리하게 운동한 날 근육통의 위치를 기억하실 겁니다.. 그 중 하나가 광배근이죠...(허리에서부터 어깨까지 이르는 역삼각형의 등근육) 그렇다면 어떤 운동으로 광배근을 단련시킬까요..


여러 운동이 있지만 회원님들의 여건상 헬스장을 이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구요.. 그래서  집에서 또는 근처 학교운동장에서 놀이터에서 할 수 있는 운동들을 모아봤습니다..

1. 치닝(일명 턱걸이)

① 철봉을 엎어쥐고 운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철봉을 넓게 쥔다.
② 철봉에 매달려 몸을 끌어올려 가슴이 철봉에 닿도록 한다.
③ 운동의 정점에서 잠시 철봉을 잡고 있다가 시작자세로 되돌아간다.

<주의 및 참고사항>

● 턱걸이를 할 때 가슴이 철봉에 닿도록 하며 흔들리지 않게 주의한다.

 


2. 원암덤벨로우

<운동순서>

① 덤벨을 왼손에 들고 오른손과 오른다리를 벤치에 대고 등이 바닥과 평행을 이룰 때까지 앞으로 숙인다.

② 왼팔을 똑바로 펴며 덤벨을 가슴 쪽으로 끌어 당긴다.

③ 세트를 끝내면 팔을 바꾸어 운동을 실시한다.

<주의 및 참고사항>

● 상체는 반 듯하게 유지를 하고 반동을 이용하지 말고 서서히 동작을 실시한다.

 

 

* 아령이 없으신 분들은 가방에 무거운 책이나 기타 물건등을 넣고 당기셔도 됩니다요...^^

 

그리고.. 헬스의 기본은 횟수와 세트조정입니다.. 큰 근육을 위해서는 고중량 저반복, 근 지구력을 위해서는 저중량 고반복..

그러니까 무게는 15~20개의 횟수를 3세트에서 5세트 할 수 있게 조정해서 하세요..

 

시간이 없다고 탁구장에 못 오시는 회원님들... 집에서라도 트레이닝 하시기를...!!

 

고수를 향하여... 끝까지 열심히 화이팅...!!